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공부] 금리의 단위도 모르면서 주식 매매를 할 순 없다! (책 추천)

728x90
반응형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1일>, 최진기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1일>, 최진기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TV나 신문 등 여러 매체를 통해 금리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코로나19를 겪은 후로 많은 분들이 금리 변동에 조금 더 예민하고 관심이 많아진 듯한데, 금리의 변화를 얘기할 때    

자주 마주치는 금리 단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퍼센트)

금리는 일반적으로 %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대출의 금리가 5%라면, 이는 대출 금액의 5%를 이자로 지불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자 -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돈의 가격

*금리 -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

 

▶ %p (퍼센트 포인트)

금리가 변동할 때, 그 변화를 %p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3%에서 5%로 상승했다면, 이 변화는 2%p(퍼센트 포인트) 증가한 것입니다. 이는 금리가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 bp (베이시스 포인트)

bp는 금리의 변화를 더 세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로, 1bp는 0.01%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금리가 3%에서 5%로 상승했다면, 이는 200bp(베이시스 포인트) 증가한 것입니다 (2% = 200bp).

 

예시

만약 A은행의 대출 금리가 4%에서 6%로 상승했다면?

> 금리는 6%입니다.

> 금리의 변화는 2%p입니다. (6% - 4% = 2%p)

> 이 변화는 200bp입니다. (2% = 200bp)

 

이처럼 금리와 관련하여 %는 현재 금리를 나타내고, %p는 금리의 변화량을, bp는 그 변화를 더 세밀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수조원, 수백 조원이 움직이므로 0.01포인트(1bp)의 금리 변화에도 매우 민감할 수밖에 없죠.

 

이 처럼 경제 용어가 생소하고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제가 현재 읽으면서 공부하고 있는 책을 하나 추천드립니다!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 1일>, 최진기 독서 과정 中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 1일 - 경제상식 | 쿠팡

현재 별점 4.7점, 리뷰 106개를 가진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 1일!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경제상식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