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것저것 (43)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문 곳곳에 보이는 한자.. 이제는 한자가 어려운 사람이 더 많지 않을까? 요즘 경제 공부를 위해 한국경제 신문을 구독해서 읽고 있는데요. 나라를 의미하는 韓(나라 한/한국), 日(날 일/일본), 美(아름다울 미/미국) 등 한자로 표기하거나 사람의 성을 한글로 표현하지 않고 한자로 표현을 하는 것을 여러 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꼭 저렇게 표현을 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 라는 궁금증 해결을 위해 이 글을 적게 됐어요. 찾아보니 그래야만 하는 약속이나 규칙이 있는 건 아니였더라구요. 동음이의어 방지 "김"이라는 이름은 한국어에서는 여러 가지 성씨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한자로는 각각 다른 글자로 표현됩니다. 한자를 함께 표기함으로써 어떤 성씨인지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뜻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동음이의어나 축약어, 학술용어, 인명 등을 한글 표기만으로 그 뜻을 쉽게 알 수.. 치킨은 식기 전에 먹자!(소비더머니 유튜브/가열취란?) 어제 치킨🥠을 먹었는데 마침 양념치킨에 대해서 얘기하는 영상이 유튜브 알고리즘에 걸려서 보이더라구요! 이 영상에서 후반부쯤, "재가열취" 단어가 나오는데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됐습니다. 이걸 보고 많은 사람들은 치킨을 왜 남겨?라고 하시겠지만,...... 전 많이 못 먹는 사람인지라... 치킨이 항상 몇 조각 남아요.... 그래서 다음날에 먹을 때는 따뜻하게 데워 조금 뻑뻑해지긴 해도 맛있게 먹은 기억이 있는데, 맛이 없다고 하네요😂 아무튼 여기서 말한 "재가열취" 를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니까, 저 단어로는 검색 결과가 없더라구요? "가열취" 단어로는 결과가 나와 '아 이미 가열된 걸 다시 데워먹으니 (재)라는 글자가 앞에 붙은 건가보다.' 라고 생각합니다. 가열취 加 더할 가 熱 더울 ..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대략 일주일 만에 받은 초대장!! (Answer Choi님 감사합니다!ㅎㅎㅎ)힘들게 입장한 만큼 열심히 블로그를 관리해보려고 합니다. 초대장을 받은 후에 회원 가입을 하자마자 블로그를 개설했습니다.급한 마음에 스마트폰으로 진행을 했습니다.아래는 블로그 개서 진행과정과 실제 블로그에서 어떻게 보이는지를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진행과정은 3단계이네요.동의는 간단하게 체크 후에 넘어와버려서 사진이 없습니다. 2단계 시작부분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적어주세요. 필명은 실제 블로그 화면에서 블로그 이름 위에 적힙니다. 닉네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가장 오래 머물렀던...블로그 이름과 블로그 주소 입력란입니다.IT관련 글을 올린 생각으로 시작하긴 했지만 뚜렷하진 않아서 이름 정하기가 어려웠..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