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블로거라면 수익형 버튼 설정에 관심이 많으실 겁니다.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에 간단히 버튼을 적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당연히 티스토리 에드센스 승인을 받고 진행해야 의미가 있겠죠?
# 티스토리 수익형 버튼 적용 방법
이 글을 끝까지 따라 해본다면, 아래 사진과 같은 버튼을 본인의 글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티스토리 관리자 홈 > 왼쪽 메뉴 꾸미기 > 스킨 편집 화면으로 이동
2. html 편집 버튼 클릭 후, CSS 버튼 클릭
3. 구분하기 쉽게 맨 아래에 CSS 코드 복사 붙여 넣기
/*커스텀 링크 버튼*/
.myButton {
box-shadow: 3px 4px 0px 0px #1564ad;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79bbff 5%, #378de5 100%);
background-color:#79bbff;
border-radius:5px;
border:1px solid #337bc4;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ffffff;
font-size:19px;
font-weight:bold;
padding:12px 60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1px 0px #528ecc;
}
.myButton:hover {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378de5 5%, #79bbff 100%);
background-color:#378de5;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
4. 화면 사이즈별로 잘 적용됐는지 확인하고 상단에 적용 버튼 클릭
여기까지 했다면 다 한 겁니다! 이제 원하는 글에 버튼만 넣으면 되거든요(●ˇ∀ˇ●)
5. 글 작성 > 기본모드 > HTML 모드로 변경
6. 당황하지 않고! 본인이 원하는 부분을 찾아 그곳에 HTML 버튼 소스 복사 붙여 넣기
<div style="text-align: center;">
<a href="https://www.naver.com/">
<button class="myButton" role="button">
<span class="text">버튼 테스트</span>
</button>
</a>
</div>
내가 원하는 곳을 찾아 HTML 소스를 적용하는 게 어렵다면 우선 빈 글에 버튼만 추가해 본 후 잘 적용되는 것부터 확인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또는 CTRL + F (찾기) 기능을 통해 본인이 적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임의의 글을 적어서 찾아서 넣는 것도 방법입니다!
7. 미리보기 또는 글 발행 후 잘 적용됐는지 확인하기
기본모드에서는 편집을 할 수 있는 상태라 디자인이 적용돼서 보이지 않으니 참고하세요!
여기까지 잘 따라와 네이버로 이동하는 버튼이 적용되었나요? 축하드립니다\^o^/
본인이 원하는 링크와 제목을 바꾸기 위해선 2곳만 수정하면 됩니다!
① href 속성의 값을 원하는 url로 변경한다.
<a href="https://www.naver.com/"><button class="myButton" role="button">
② span 태그 안에 있는 텍스트를 변경한다.
<span class="text">버튼 테스트</span>
만약 색상이나 글자 크기를 조절하고 싶다면 직접 CSS를 공부해서 수정해도 OK!
저는 디자인 감각이 💩이라 아래 사이트를 통해 버튼 디자인을 골라 적용했더니 훨씬 좋네요ㅋㅋㅋ
"Button Generator"사이트인데 이미 디자인된 버튼이 여러 개 있어 그중에 마음에 드는 걸 골라 바로 CSS소스를 뽑아 올 수 있었습니다!
'일상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글 발행 후 색인 속도, 검색 노출까지 걸리는 시간은? (1) | 2025.01.04 |
---|---|
애드센스 수익 데이터 분석 (효율적 조회, 수익관리를 위한 보고서 활용) (1) | 2025.01.04 |
[독서] 왼손잡이의 난독증: 뇌의 구조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 (6) | 2024.12.31 |
[독서] 흑백논리(black-and-white thinking)의 사고 방식이 역설적인 이유 (0) | 2024.12.31 |
[독서/단어] 책에 자주 나타나는 이데올로기(ideology) 이해하기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