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 23.10.31 'AI 행동강령' 만든 G7…"기업이 부작용 책임져라" 압박

728x90
반응형
반응형

TITLE
'AI 행동강령' 만든 *G7…"기업이 부작용 책임져라" 압박
SUB TITLE
'히로시마 AI 프로세스' 합의…기술규제 '가이드라인' 역할
AI 생성물에 워터마크 도입 등  오용 막을 11개 항목으로 구성 "기업들이 가짜뉴스 대비해야"
韓(한)도 디지털 권리장전 세우고 내달 영국 'AI 정상회의' 참석
WHAT
30일 일본 정부는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연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추진해온 ‘히로시마 AI 프로세스’에 따라 첨단 AI 개발 조직에 대한 국제 지침 및 행동강령이 합의됐다고 밝혔다.
WHY
가짜뉴스, 딥페이크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규제 움직임이 빨라지는 모양새다.

G7 정상은 이날 성명문을 통해 “생성형 AI인 챗GPT 등 첨단 AI의 기회와 변혁 가능성을 강조하며 이와 함께 위험을 관리해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 가치를 포함한 공유된 원칙을 지킬 필요성을 인식한다”고 선언했다.
HOW
이 강령이 전 세계 주요 국가에서 AI 기술을 규제하는 법안 마련의 기준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11개 항목으로 구성된 강령은 기업이 AI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위험을 식별, 평가 및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적시했다.

이번 행동 강령은 구속력은 없지만, 주요 국가가 AI를 관리하는 기준점 역할은 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베라 요우로바 EU 집행위원회 가치·투명성 담당 부집행위원장은 “행동 강령이 안전을 보장하는 강력한 기반이며 규제가 마련될 때까지 가교 구실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AI의 위험성’을 두고 주요 국가 간엔 온도 차가 있지만, 올해 5월 미국 국방부 청사에서 폭발이 일어난 가짜 사진이 주가를 출렁이게 하면서 ‘안전한 AI’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FIND WORDS
#G7(Group of Seven)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를 의미한다.
이 국가들은 국제 통화 기금이 분류한 세계의 7대 주요 선진 경제국들이며, G7 국가들은 전 세계 순 국부 중 58% 이상을 차지한다.
이 그룹에 속한 국가들은 사실상 전세계에서 이견이 없는 선진국으로 분류되며, 국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국가들이다.

QUESTION
Q: G7에서 합의된 행동강령으로 어떤 영향이 미칠 것인가?
A: 현재로 앞으로도 꼭 필요한 규제로 보이지만, 모든 국가들이 해당 규제를 동일하게 따르지 않는다면 기술 격차가 생길 것이고 불만을 품는 기업은 생겨날 것으로 생각한다.

INVESTMENT POINT
없음

REFERENCE URL
 

'AI 행동강령' 만든 G7…"기업이 부작용 책임져라" 압박

인공지능(AI) 위험성 논란에 세계 각국이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가짜뉴스, 딥페이크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규제 움직임이 빨라지는 모양새다.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plus.hankyung.com

 

728x90
반응형